ChangHyeon Nam's Blog notes and thoughts

2022년 상반기 회고

Comments

장기적인 개발 공부 및 커리어의 방향성 측면에서 리서치 보다는 실제 서비스와 맞닿아 있는 ML powered service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공부하고 있다. (맥가이버 칼같은 만능 ML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

작년에 naver ai rush 이후, nlp에 빠져서 한동안 공부했다. NLP와 관련되어, 관심이 생겼던 분야는 특정 task가 아닌, large scale model 혹은 foundation model을 학습하여 더 효율적이고, 경량화된 모델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정말 많은 리소스가 있는 회사에서만 큰 모델에 대해 시도를 해볼 수 있고, 학생의 입장에서 이것저것 시도하기엔 한계가 많았다. (단 inference가 아니라면?, 사실 할라면 할 수는 있었다고 생각함.)

그러던 중 작년 12월 부터 3개월간 정출연 중 하나인 KIST에서 추천관련 모델링 인턴십의 기회를 얻어서 가장 기본적인 MF부터 여러가지 모델을 시도해 볼수 있었다. 애초에 나는 연구보다는 개발을 하고 싶었고, 매우 큰 트래픽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추천시스템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게다가 내가 지금까지 공부한 nlp관련 지식들과 무관한 분야도 아니고, transformer/gnn 계열의 다양한 아키텍쳐가 적용되고 있어서 재밌게 개발하며 공부했다.


그리고 올해 5월말 부터 8월말까지 약 3달간 naver clova ml x team에서 추천 모델링 관련 인턴십을 진행했다. 내가 소속된 팀은 Long-term engagement 라는 팀으로, supervised learning이 optimise할 수 없는 다양한 metric (e.g, retention rate)을 optimise하고자 Reinforcement Learning을 적용하는 팀이었다. 주로 맡은 업무는 뉴스추천 모델링 및 파이프라인 일부 개발 이었고, 더 많은 일을 하고 싶어 팀원분의 강화학습 모델 일부분에 기여를 했다. 매주 주간 미팅때, cancel됬지만 deview와 관련한 slide 만들기 및 a/b test 방향성도 함께 토론했다. 토론에서 새로 알게된 Insight는 RL을 적용하는 시도 자체가 정말 의미 있고, 만약 가설대로 잘 작동한다면 정말 powerful한 방법 중 하나였다. 3달동안 업무외에, dqn, actor-critic, policy gradient, offline rl 등에 대해 공부하면서 RL에 발을 담궈볼 수 있었고, RL을 이용해 실 서비스에서도 가설대로 잘 작동하고, robust한 추천시스템을 만든다면 앞으로 추천시스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414d8d316d2eec47889d4cc562a3203f (하하하 아직까지는 연구보다는 개발하고 싶다.)

그래서 인턴십이 바로 끝나고 학교에 새로 부임하신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님 아래서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다. (강화학습을 메인으로 하신다.) 프로젝트 개발이나, 실 데이터를 이용해 딥러닝을 사용해서 해결하는 경험들은 꽤 했다고 생각해서, 이번엔 연구에 도전해보고 있다. 네이버에서 리서쳐로써 어떠한 합리적인 사고를 거쳐 strong claim을 할 수 있는 연구를 하는지 간접적으로 배웠다고 생각해서, 배운 것을 실전에 적용해보며 공부하고 있다. Domain 자체는 추천시스템이 아닌 general한 RL 환경에서의 연구지만, 연구를 해보고 싶어서 학부연을 한 것이기 때문에 domain은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Screen Shot 2022-09-07 at 4.34.37 PM 교수님께서 post-doc때 연구하신 내용인 Imitation learning / policy transfer learning과 관련된 RL에서 내가 어느정도 잘 알 고있는 attention/transformer 및 여러가지 딥러닝 모델등을 이용해서 기존의 black box처럼 학습하던 문제를 좀더 explainable한 학습을 하게 시도해보고 있다. (아직 background 공부하고 있어서 사실 내가 어떤 것을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가 없다. 이번 달 말 정도되야 명확하게 알고, 실험을 시작할 수 있을것 같다.)


Screen Shot 2022-09-07 at 4.32.44 PM

작년부터 현업에서 실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ml-powered service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백엔드에 대해서 공부해야하는 지 고민이 있었다. 두번의 인턴십을 경험하면서 MLops를 직접 써보면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장고 등 백엔드 프레임워크보다는 정말 ml service pipeline에 필요한 component들인 database, 적절한 inference 방법, kubeflow/airflow 등을 공부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2022 FSDL(full stack deep learning)을 수강하고 있는데, 그 수업의 큰 주제가 mlops framework 이기 보다는 ml powered product을 만드는 데 고려해야하는 모든 것이 주제이다. 수업은 무료이지만 돈 안내면 안들을 것 같아서, 돈내고서 팀 프로젝트도 하면서 듣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해서 실 서비스와 맞닿아 있는 지식들 및 고려해야하는 것을 배우기를 기대하며 공부하고 있다.